박재연 : 뭘 해도 행복한 사람과 불만인 사람의 말버릇
광교산 산신령 티스토리 주소 : https://withone5500.tistory.com
광교산 산신령
세상의 이치, 지혜, 일반 상식, 깨달음, 알아차리기 등을 알려드립니다.
withone5500.tistory.com
Ⅰ. 개요 : 말버릇이 왜 중요할까?
1. 우리는 하루에도 수십 번 말을 합니다.
그런데 그 말, 속에는 삶의 태도와 감정조절 능력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2. 세바시 강연에서 박재연 소장은 말합니다.
“행복한 사람은 감정을 조절하는 전략이 말로 드러난다.”
3. 즉, 말버릇은
단순한 언어 습관이 아니라 내면의 사고방식과 감정 처리 방식을 보여주는 창입니다.
4. 이 글에서는 행복한 사람과 불만 많은 사람의
말버릇을 비교하며, 우리가 어떤 말 습관을, 가져야 하는지 기승전결 구조로 풀어보겠습니다.
Ⅱ. 기 : 행복한 사람들의 말버릇 특징
1. 행복한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말버릇을 자주 사용합니다.
1) 방법이 있을 거야
욕구를 포기하지 않고 다양한 해결책을 찾으려는 태도.
예 : 핸드폰이 고장 나도 “재미를 느낄 다른 방법이 있을 거야”라고 말합니다.
2) 지금은 힘들어도 긍정적인 의미가 있을 거야
상황을 긍정적으로 재평가하는 능력.
예 : 코로나 시기에도 “가족과 더 가까워질 수 있었어”라고 해석합니다.
3) 이것만 끝나면 괜찮아질 거야
긍정적 재 초점을 통해 현재의 어려움을 견딤.
예 : “끝나고 야구에 치맥!” 같은 기대를 설정합니다.
4) 이만하길 다행이다
관점을 전환해 불편한 감정을 편안하게 바꿈.
예 : “더 아프지 않아서 다행이야.”
2. 이러한 말들은
감정조절 전략이 잘 훈련된 사람들에게서 나타납니다.
3. 타고난 기질이 아니라
후천적 훈련과 양육 환경의 영향이 크다는 점도 강조됩니다.
Ⅲ. 승 : 불만 많은 사람의 말버릇 특징
1. 반면, 불만이 많은 사람은 다음과 같은 말버릇을 보입니다.
1) 경계적 목표 설정
“욕먹지만 말자”, “꼴찌는 하지 말자” 등 최악을 피하려는 목표를 세웁니다.
⇒ 성취감이 없고, 불안만 남습니다.
광교산 산신령 티스토리 주소 : https://withone5500.tistory.com
광교산 산신령
세상의 이치, 지혜, 일반 상식, 깨달음, 알아차리기 등을 알려드립니다.
withone5500.tistory.com
2) 해석의 왜곡
“왜 커피를 사요? 무슨 의도죠?”처럼 상대의 말을 꼬아 듣는 경향이 있습니다.
⇒ 공감 능력이 떨어지고 관계가 피곤해짐.
3) 과거의 트라우마가 현재를 지배
“내가 불행한 건 내 탓이야”라는 개인화된 해석.
⇒ 불신, 실패에 대한 두려움, 감정 억제 등의 왜곡된 신념 형성.
2. 예를 들어
“너희들끼리 밥 먹냐?”라는 말은 사실 “다음엔 나도 같이 먹자.”라는 부탁일 수 있습니다.
3. 하지만 왜곡된 신념이 작동하면
감정이 떨어져 나가고 관계가 단절됩니다.
Ⅳ. 전 : 말버릇을 바꾸는 훈련 방법
1. 행복한 말버릇을 갖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훈련이 필요합니다.
1) 감정을 흘려보내기
좋은 말이 튕겨 나갈 때는 내면의 고통을 털어놓을 시기입니다.
⇒ 상담가나 믿을 수 있는 사람에게 이야기해보세요.
2) 긍정적인 사람 옆에 있기
감정은 전이됩니다.
안정적인 사람 옆에 있으면 내 감정도 편안해집니다.
3) 말의 해석을 바꾸기
모든 말을 감사(Thank you) 또는 부탁(Please)으로 바꿔보세요.
예를들어서
“얼마나 번다고 돈지랄이야?” ⇒ “고마워, 잘 쓸게!”
4) 신념 점검하기
“실패는 용납할 수 없다”, “감정은 표현하면 안 된다.”
같은 왜곡된 신념을 점검하고 수정해야 합니다.
Ⅴ. 결 : 말은 곧 삶이다.
1. 박재연 소장은 말합니다.
“행복한 사람은 감정을 조절하는 전략이 말로 드러난다.”
2. 결국, 말버릇은
삶의 방향을 결정짓는 나침반입니다.
3. 불만을 줄이고 행복을 늘리고 싶다면
먼저 내가 어떤 말을 자주 하는지 돌아보는 것부터 시작해보세요.
광교산 산신령 티스토리 주소 : https://withone5500.tistory.com
광교산 산신령
세상의 이치, 지혜, 일반 상식, 깨달음, 알아차리기 등을 알려드립니다.
withone5500.tistory.com
4. 오늘 하루
“방법이 있을 거야”라는 말부터 실천해보는 건 어떨까요?
'심신 건강, 역사, 상식, 깨달음, 알아차리기,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왜? 동양인은 서양인과 다른 외모로 진화했을까? (4) | 2025.07.08 |
---|---|
김주환 :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 (2) | 2025.07.07 |
일본인 = 왜구 : 왜? 체구가 작다고 여겨질까? (0) | 2025.07.06 |
장동선 박사 : 뇌과학으로 풀어보는 성공의 비밀 (1) | 2025.07.05 |
적은 돈으로 큰돈을 만드는 가장 확실한 투자 전략 : 오건영 단장의 인사이트 (1) | 2025.07.05 |